스왑영역확인(초기상태) - free / swapon

스왑 파티션 생성
스왑파티션은 스왑영역을 생성하기위한 방법중 하나입니다. (다른 하나는 스왑파일생성) 스왑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해선 먼저 디스크를 파티셔닝해야 합니다.

fdisk 명령을 사용하여 스왑영역으로 사용하기 위한 /dev/sdb5 파티션 장치를 생성하고 생성한 파티션을 스왑영역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파티션 타입을 스왑 장치용 파티션으로 바꾸어야합니다.
fdisk 명령의 프롬프트에서 't' 명령을 사용하여 파티션 타입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
't'명령후 Linux 파티션 타입 근처에 82번 Linux swap /Solaris 파티션을 사용합니다.
파티션 타입 변경 후 'w' 명령으로 파티션설정을 저장하고, 쉘에서 partprobe명령을 사용하여 변경된 파티션 테이블을 운영체제에게 알립니다.
[root@localhost ~]# partprobe /dev/sdb5
파티션 타입을 스왑으로 지정하였지만 아직 생성된 파티션은 스왑영역으로 지정되지 않았습니다.
파일 입출력 용도의 파일시스템을 생성할 때 파티셔닝 한 후 파일 시스템을 생성했던것 처럼, 스왑영역을 생성할 때에도 파티셔닝 한 후에 파티션에 스왑영역을 생성해야 합니다.
이때 사용하는 명령이 mkswap입니다.
[root@localhost ~]# file -s /dev/sdb5
/dev/sdb5: Linux/i386 swap file (new style), version 1 (4K pages), size 262143 pages, no label, UUID=458dae25-89d5-42df-8fc1-3ba645007e3d
[root@localhost ~]# mkswap /dev/sdb5
file 명령으로 스왑 영역을 생성하기 전 상태의 파티션 장치를 확인합니다.
mkswap명령을 사용하여 파티션 장치를 지정하면 스왑영역이 생성되고 스왑영역이 생선된 파티션에 대한 정보가 출력됩니다. 또한 스왑영역에 대한 UUID 값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스왑파일 생성
스왑파일은 파일 시스템 아래에 파일을 생성하여 그 파일을 스왑영역으로 사용합니다. 즉, 파티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 파티셔닝을 위한 파티션을 확보할 필요가 없습니다.
1. df -h 를 이용하여 보기편하게 파일시스템 사용량을 출력하여 여유고간이 있는지 확인합니다
2. 이후 스왑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디렉토리 생성후 파일을 생성합니다
('dd'사용, 'of'에는 생성될 파일 , 'if'에는 복사할 파일 , 'bs'에는 복사할때 사용할 블록 크기를 byte단위로, 'count'는 복사할 횟수를 지정합니다.
'if'를 다음과같이 /dev/zero 파일을 지정하여 복사할 경우 of에 지정된 파일의 데이터가 모두 0으로 채워집니다.
즉 다음 명령어의 의미는 0으로 채워진 데이터를 512byte씩, 1048576번 /swapdir/swapfile 파일에 복사하게됩니다.)
[root@localhost ~]# dd if=/dev/zero of=/swapdir/swapfile bs=512 count=1048576
3. 스왑파티션 생성때와 동일하게 mkswap명령을 사용하여 스왑파일을 생성합니다.
4. file -s 를 통해 확인
스왑 영역 활성화
스왑 영역이 생성된 뒤에는 시스템에서 스왑영역이 사용될수 있도록 활성화 해야합니다.
swapon [option] {partition | file-name}
옵션
-a : /etc/fstab 파일을 참고하여 스왑영역을 활성화 합니다
-p : 스왑영역을 활성화 할때 우선순위를 지정합니다.
-s : 활성화된 스왑영역의 정보를 출력합니다
스왑 영역 활성화 해제
swapoff [option] {partition | file-name | UUID }
옵션
-a : 파일시스템 테이블 파일, 또는 /proc/swaps 파일을 참고하여 현재 활성화된 스왑영역중 사용중이지 않은 스왑영역전체를 해제
'리눅스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/CentOS] 단일 RAID 종류별 특징 (0) | 2021.05.13 |
---|---|
[리눅스/CentOS] 논리 볼륨 만들기 (0) | 2021.05.13 |
[리눅스/CentOS] 디스크기본구조 (0) | 2021.05.12 |
[리눅스/CentOS] 리눅스 주요 디렉터리 정리 (0) | 2021.05.12 |
[리눅스/CentOS] 마운트,마운트해제 (0) | 2021.05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