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처 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5%98%EB%93%9C_%EB%94%94%EC%8A%A4%ED%81%AC_%EB%93%9C%EB%9D%BC%EC%9D%B4%EB%B8%8C#/media/%ED%8C%8C%EC%9D%BC:Hard_drive-en.svg

 

 플래터(Platter) :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, 데이터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기록됩니다. 양면에 기록 가능

 

스핀들(Spindle) : 플래터를 회전시키는 역할 (RPM: 모터 회전 속도 )

 

헤드 (Head): 플래터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 담당. 디스크와 매우 가깝게 붙어있기 때문에 디스크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헤드가 플래터를 손상시킬수 있습니다

 

액추에이터(Actuator) : 엑추에이터는 디스크 제어 컨트롤러에 의해 디스크 플래터의 원하는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하여 암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합니다.

 

액추에이터 암(Actuator Arm) : 엑추에이터에 의하여 움직여지고, 각 암마다 한개씩의 헤드가 붙어있습니다. 액세스 암이라고도 부릅니다.

 

커넥터 (Connector): 디스크의 연결 인터페이스 종류에 맞는 케이블 연결을 담당합니다. 일반적으로 IDE,S-ATA(Serial ATA) , SCSI , SA-SCSI등을 사용합니다.

 

점퍼 블록(Jumper Block) : ID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경우 master/slave를 결정하기 위한 점퍼를 설정해야 합니다. 다른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점퍼가 필요하지 않습니다.

 

전원커넥터 (power connector) : 디스크 구동에 필요하 전원케이블을 연결합니다.

 

물리적 디스크의 동작 방식

 

디스크의 저장 영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플래터로 구성됩니다. -> 플래터 회전 -> 액세스 암은 단일 단위에 읽기 및 쓰기 헤더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수행 ->  읽기/쓰기 헤더는 플래터 양옆의 마그네틱 표면에 데이터에 대한 읽기,쓰기를 수행합니다.

 

디스크 플래터(Disk Platter) 의 논리적 구성 요소

 

 

섹터(Sector) : 플래터(platter) 의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. 1개 섹터의 크기는 512byte입니다. 섹터는 디스크 블록으로도 불립니다.

 

트랙 (Track) : 섹터가 모여 하나의 원을 구성합니다. 트랙은 많은 수의 섹터를 가지고있으며 플래터 내의 여러개 트랙이 존재합니다.

 

실린더 (Cylinder) : 여러 동심 트랙에 대한 스택구조입니다.

 

 

 

크기별 정리 : 디스크 > 파티션 > 실린더 > 트랙 > 섹터

 

 

 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