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TCP/IP protocol 개요
- TCP/IP는 현재 인터넷의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 규약의 모음이다.
- 1960년대 말 미국방성의 연구에서 시작되어 1980년대 초 프로토콜 모델이 공개되었다.
- 하드웨어, 운영체제, 접속매체에 관계없이 동작할 수있는 개방성을 가진다.
OSI 7계층과의 비교
-TCP/IP 프로토콜은 OSI 모델보다 먼저 개발되었다.
- 두 계층을 비교할 때, 세션계층, 표현계층은 응용계층에 묶여있는것을 알수 있다.
- 두 모델 모두 계층형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, TCP/IP 는 인터넷 개발 이후 계속 표준화되어 신뢰성이 우수하다.
- 실질적인 통신 자체는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
Network Access Layer
① OSI 7 Layer에서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한다.
② OS의 네트워크 카드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과 같이 하드웨어적인 요소와 관련되 는 모든 것을 지원하는 계층
③ 송신측 컴퓨터의 경우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에 물리적인 주소은 MAC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헤더를 추가하여 프레임을 만들고, 프레임을 하위계층인 물리계층으로 전달한다.
④ 수신측 컴퓨터의 경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추가된 헤더를 제거하여 상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한다.
- CSMA/CD, MAC, LAN, X25, 패킷망, 위성 통신, 다이얼 모뎀 등 전송에 사용
- 프로토콜 : Ehternet(이더넷), Token Ring, PPP
Internet Layer
① OSI 7 Layer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한다.
② 인터넷 계층의 주요 기능은 상위 트랜스포트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에 IP패킷 헤더를 붙여 IP패킷을 만들고 이를 전송하는 것이다.
- 통신 노드 간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 및 라우팅 기능을 담당
- 프로토콜 : IP, ARP, RARP, ICMP, OSPF
Transport Layer
① OSI 7 Layer에서 전송계층에 해당한다.
② 네트워크 양단의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서 신뢰성 있는 전송기능을 제공한다.
③ 시스템의 논리주소와 포트를 가지고 있어서 각 상위 계층의 프로세스를 연결해서 통신한다.
④ 정확한 패킷의 전송을 보장하는 TCP와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 UDP 프로토 콜을 이용한다.
⑤ 데이터의 정확한 전송보다 빠른 속도의 전송이 필요한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UDP 를 사용하면 TCP보다 유용하다.
-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, 자료의 송수신을 담당
- 프로토콜 : TCP, UDP
Application Layer
① OSI 7 Layer에서 세션계층 , 프레젠테이션계층,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해당한다.
② 응용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서비스, 메일서비스, 웹서비스 등을 할 수 있도록 표준적 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
- TCP/IP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분할 때 사용한다.
- 프로토콜 : HTTP, FTP, Telnet, DNS, SMTP
'네트워크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RP & IP (0) | 2021.04.20 |
---|---|
1~3 계층 장비 정리 및 주요기능 (0) | 2021.04.20 |
공인 IP 와 사설 IP (0) | 2021.04.20 |
매체 접근방식에 대하여 (0) | 2021.04.19 |
OSI 7계층 정리 (0) | 2021.04.19 |